Linux 7

[Linux] Samba

개요 회사에서 서버를 관리하면서 Samba를 설치하고 관리하게 되었다. 이번 기회에 Samba에 대해서 정리하고 장단점을 짧게 살펴보고자 한다. 정의 먼저, Samba는 뭔가? 삼바(samba)는 Windows PC에서 Linux 또는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1991년 호주의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앤드루 트리젤(Andrew Tridgell)이 개발하였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82%BC%EB%B0%94_(%EC%86%8C%ED%94%84%ED%8A%B8%EC%9B%A8%EC%96%B4) Linux와 Windows가 자유롭게 파일 공유를 할 수 있게 한다고 이해하면 편할 것이다. 이번 포스팅..

Linux 2024.01.30

[Spirng boot] 라즈베리파이에서 웹 어플리케이션 베포

개요 나는 springboot에서 개발을 하면서 서버를 구축해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근데 막상 정보를 찾아보려고 하니까 AWS에 배포하는 건 많은데 직접 서버를 구축하고 배포하는 것은 거의 못봐서 내가 겪은 시행착오들을 포함해서 글을 작성해본다. 난 일단 라즈베리파이에 ubuntu 22.04.3 LTS가 올려진 환경에서 web server 환경을 구축하고 spring boot에서 빌드한 웹 어플리케이션도 올릴려고 한다. Web server와 WAS Web에 대해서 공부를 하면서 WAS와 web server가 뭔지 헷갈릴 때가 많았다. 둘이 비슷하면서도 다른 개념이라서 헷갈릴 여지가 있는 것 같다. 일단 web server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소프트웨어 :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프로그램 하드..

web 2023.10.26

[Ubuntu 22.04.3 LTS] 라즈베리파이 HDD 마운트

이번에 NAS 서버를 구성하기 위해서 unbuntu가 설치된 라즈베리 파이에 HDD를 부착했다. HDD 선정 난 씨게이트 바라쿠다 8TB를 구매했다. 일단, wd랑 씨게이트 둘 중에서 고민했는데 아래 글을 보고 씨게이트를 구매하기로 확정했다. https://blog.naver.com/dummy_98/222295756269 HDD 오해와 진실 그리고 선택 - 1부(불량율) 많은 사람들이 하드웨어 포럼에 와서 "어느 HDD가 좋냐"는 질문을 수없이 던진다. 그때 마다 ... blog.naver.com 관련 글도 굉장히 유용하니 참고하면 좋다. 그리고 나서 5400rpm과 7200rpm 중에 고민했는데 거실에 설치할 거라서 소음 이슈가 있을까봐 5400rpm으로 했다. 그리고 가격도 더 저렴한 것 같다. 해외..

Linux 2023.10.24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1] 라즈비안 4.19 깔기

몇 달째 아이쇼핑하던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1을 구매했다. 그리고 나서 Raspberry pi4에 2019-07-10-raspbian-buster-full.img를 설치하려고 했다. https://downloads.raspberrypi.org/raspbian_full/images/raspbian_full-2019-07-12/ Index of /raspbian_full/images/raspbian_full-2019-07-12 downloads.raspberrypi.org 예전 kernel 버전의 이미지들은 위의 링크에 있다. 문제 발생 근데 웬걸 부팅을 할 때, start4.elf is not compatible이라고 하면서 이상한 메세지들이 계속 떴다. 그래서 알아보니, 옛날 버..

Linux 2023.09.01

[Device Driver] Platform Device

platform Device란 무엇인가? Platform device driver는 무엇이고 왜 쓰는가..? 이게 내가 처음 platform device driver에 대해서 공부하기 시작했을 때에 들었던 의문이고 오랫동안 풀리지 않던 궁금증이었다. 인터넷에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정의가 나온다. Platform drivers 플랫폼 디바이스는 struct platform_device 로 정의되며 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가상 "플랫폼 버스"에 연결된 것으로 간주된다. 출처: '대체 이게 뭔소리야...?' 라는 게 내가 처음 이 문장을 보고 생각했던 것이었다. 왜냐면 이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device model에 대한 기본지식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Device model Device ..

Linux 2023.08.02

[Device Driver] Character device driver의 개념

해당 본문은 "Linux driver development for embedded processors: second edition"을 참고하여 작성되었다. 개요 먼저, 오늘은 character device driver에 대해서 공부해볼 것이다. 아직 device driver를 한번도 작성해본 경험이 없다면 아래 예제를 먼저 수행하고 오자. [Linux] 가장 기본적인 device driver 오늘은 아주아주 간단한 device driver 예제를 작성해보고자 한다. Device Driver란? 디바이스 드라이버 : 시스템이 지원하는 하드웨어를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커널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dev-growbook91.tistory.com 먼저, 기본적인 것부터 말해보자면 device drive..

카테고리 없음 2023.07.22

[Device Driver] 가장 기본적인 device driver

오늘은 아주아주 간단한 device driver 예제를 작성해보고자 한다. Device Driver란? 디바이스 드라이버 : 시스템이 지원하는 하드웨어를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커널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간단하게 말하면 응용프로그램에서 하드웨어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게 설계되어 있어서 device driver를 통해서 우회하는 것이다. 원래는 시스템 호출 방식만이 존재하였으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하드웨어가 늘어나면서 문제가 발생하면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사용. 그냥 한 마디로 하면 하드웨어에 접근하려고 device driver를 작성한다. 그럼 거두절미 하고 일단 코드를 작성해보자. #include #include #include static int __init my_init(void){ pr..

Linux 2023.07.05